제테크

테슬라의 원통형 배터리, 전기차 시장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까?

해시우드 2023. 3. 21. 09:25
반응형

전기차 시장에서 대세인 테슬라가 주력 배터리를 원통형으로 바꾸면서, 이에 따른 변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파우치형이 주목받았지만, 지금은 원통형이 안전성이 높아 대형 제작에 용이하다는 이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이즈가 커진 4680 모델의 원통형 배터리는 주행거리를 15~20%까지 늘릴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해줄 것으로 예상되어 전기차 시장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테슬라가 원통형 배터리를 채택하면서, 전기차 배터리 관련 주식 시장에서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안정적인 결과를 내고 싶다면, 테슬라가 성장하면서 수혜를 얻을 수 있는 기업을 알아두는 것이 좋겠죠. 또한, 국내 여러 기업의 기술력을 선택해 협업하고 있는 테슬라는, 우리에게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지난 1. 31일 유진투자증권은 ‘전기차 배터리-원통형 배터리 시장에 주목’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고, 글로벌 전기차향 원통형 배터리 시장 규모를 지난 2022년 약 108GWh 수준에서 2025년 241GWh, 2030년 705GWh로 연평균 27% 성장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 연평균 성장률 추정치 19%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로, 원통형 배터리가 전기차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요처에 사용될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테슬라는 36 억달러를 투자하여 네바다에 4680 원통형 배터리 조립 공장을 건설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 공장에서는 연간 100 GWh의 원통형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원통형 배터리는 크기의 확장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어 배터리팩의 공간 활용 문제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원통형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낮아 단점으로 지적되었지만, 테슬라는 4680 모델이 2170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5배 높고 주행거리도 16% 향상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2170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는 4400 개의 셀이 필요하지만, 4680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는 830 개의 셀만 필요하기 때문에 용접횟수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대폭 간소화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원통형 배터리는 그동안 테슬라와 함께 자동차 시장에 진입한 업체들만 채택하던 기술이었지만, 이제는 전통적인 자동차 업체들에게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작년 BMW가 CATL과 유럽, 중국에서 지름 46 밀리미터의 원통형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대량 생산 체제가 본격화되었습니다.

 

 

 

 

 


이번 투자로 테슬라는 배터리 제조 기술과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테슬라는 이를 통해 차량 생산량을 늘리고, 배터리 기술의 발전으로 전기차의 주행거리와 충전 시간을 더 개선시킬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이 전기차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글로벌 원통형 배터리 시장은 파나소닉, 삼성 SDI, LG 에너지솔루션 3 강, CATL 1 중 이외에 NorthVolt 등 신규업체들이 진입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들은 IT, 전동공구향 원통형 배터리 시장을 장악한데 이어 전기차부문으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물론이고 BMW, GM, 스텔라티스, 볼보 등과 원통형 배터리 공급을 확정했거나 논의 중입니다. 따라서 향후 국내 배터리 관련업체들에게 원통형 시장 확대로 인한 수혜가 예상됩니다.


이처럼 전기차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기술도 더욱 진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도 이 분야의 동향에 주목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참고문헌 : 유진투자증권, "전기차 배터리, 원통형 배터리 시장에 주목", 2023. 1. 30.

 

https://www.hashwood.org/51

 

글로벌 전기차 2차전지 제조회사 현황

최근 몇 년간, 이차전지 시장은 급격한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전기차 등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의 대중화에 따라 이차전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재생에너지 시장의 확

www.hashwood.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