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부정책11 플랫폼 종사자 특화훈련 제공 플랫폼 종사자의 직무능력향상, 근로권익보호 등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 종사자 특화훈련」이 시행됩니다. 플랫폼 종사자 및 플랫폼 종사 희망자는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아 맞춤형 특화훈련에 참여할 수 있으며, 직무능력향상 내용과 직종별 유해·위험요인, 사고유형, 업무계약 등 산업안전· 근로권익보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또한, 훈련생의 비용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훈련비는 계좌유효기간(5년) 내 최대 3회까지 전액 지원하며, 4회 수강부터는 10% 자부담이 부과됩니다. 1. 추진배경 플랫폼 종사자 직무 특성에 적합한 특화훈련을 제공하여 플랫폼 종사자의 권익향상과 플랫폼 종사자의 직무능력 향상 도모 2. 주요내용 지원대상 플랫폼 종사자 및 플랫폼 종사 희망자 * 단,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 지원제외 대상(.. 2023. 3. 12.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장단점 총정리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입 가능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청년희망적금 등 다른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 프로그램에 비해 인기가 떨어졌습니다. 원금 보장이 안되는 투자상품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다른 상품에 비해 선호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미 다른 상품에 가입한 분들은 초과 수익을 노리기 위해 해당 펀드를 고려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일반적인 펀드와 마찬가지로 원금 보장이 되지 않는 상품입니다. 하지만 소득공제 혜택을 비롯한 기본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가입 시기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므로 해당 펀드에 포함된 주식들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소득공제 혜택과 함께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금 보장이 없으므로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 2023. 3. 12. 2023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점 대상 등 총정리 최근 정부는 청년세대를 상태로 여러가지 혜택을 주려고 지원정책을 내어놓고 있습니다. 지난 2023. 3. 8일에는 6월에 출시될 청년도약계좌 관련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만19~34세 청년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상품으로, 매월 계좌에 70만원 한도 내에서 저축하면, 정부가 기여금을 지원해줍니다. 소득에 따라 정부지원금이 달리지긴 하지만 5년동안 매월 70만원씩 납입하면, 5년 만기 후 찾을 때 정부의 지원금이 더해져서 5,000만원을 받을 수 있고, 이자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혜택을 줍니다. 은행이 주는 이자와 정부가 지원해주는 금액을 생각해보면 시중은행의 적금에 비해 상당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월 일정금액을 5년간 납입하지 못하고.. 2023. 3. 1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